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마지막 지하철

덤프버전 :

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장편 연출 작품




'마지막 지하철'의 주요 수상 이력
[ 펼치기 · 접기 ]

역대 세자르 시상식
파일:cesarawards.png
작품상
제5회
(1980년)
제6회
(1981년)
제7회
(1982년)
테스마지막 지하철불을 찾아서

파일: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.jpg
[[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|'''{{{#000,#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
1001편}}}''']]




마지막 지하철 (1980)
Le dernier métro
파일:1980 마지막 지하철 포스터.jpg
장르드라마, 로맨스, 역사, 전쟁
감독프랑수아 트뤼포
각본프랑수아 트뤼포, 수잔 쉬프망, 장 클로드 그룸버그
제작프랑수아 트뤼포, 장 조스 리처
주연카트린 드뇌브, 제라르 드파르디유
촬영네스토르 알멘드로스
편집마틴 바라크
미술장 피에르 고흣 스벨코
음악조르쥬 들르뤼
음향미셸 로랑
의상리셀 루스
촬영 기간1980년 2월 15일 ~ 4월 21일
제작사파일:프랑스 국기.svg 르 필름즈 두 카로스
파일:프랑스 국기.svg TF1 필름 프로덕션
파일:프랑스 국기.svg 세디프 프로덕션
배급사파일:프랑스 국기.svg 고몽
개봉일파일:프랑스 국기.svg 1980년 9월 17일
화면비1.66 : 1
상영 시간2시간 11분
제작비○○
월드 박스오피스2,330만 달러
북미 박스오피스$3,007,945
프랑스 총 관객 수3,393,694명
상영 등급파일:영등위_15세이상_2021.svg 15세 이상 관람가

1. 개요
2. 예고편
3. 시놉시스
4. 등장인물
5. 줄거리
6. 사운드트랙
7. 평가
8. 수상 및 후보
9. 기타
10. 관련 문서



1. 개요[편집]


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및 각본, 카트린 드뇌브, 제라르 드파르디유 주연의 1981년작 프랑스 역사 영화.

나치 치하 비시 프랑스에서 파리 몽마르트에 있는 작은 극단의 구성원들이 검열과 반유대주의에 저항하며 예술 활동을 계속해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.


2. 예고편[편집]


▲ 예고편


3. 시놉시스[편집]


2차 대전 중 독일의 프랑스 점령시기, 연극 연출가인 유대인 루카스는 레지스탕스 활동으로 나치로부터 위험에 빠지고, 그의 부인 마리온은 그를 극단 지하실에 숨긴다.

나치 치하에서 연극을 지키려는 신인배우 베르나르는 레지스탕스 남편을 둔 극단의 책임자 마리온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.

연극을 지키려는 예술가들의 치열한 삶과 함께 이뤄질 수 없는 사랑에 빠진 남녀의 사랑을 나치의 추적 속에 긴박하고 스릴있게 전개해 나간다.



4. 등장인물[편집]


  • 카트린 드뇌브 - 마리옹 스타이너 역
  • 제라르 드파르디유 - 베르나르 그랑제 역
  • 장 프와레 - 장-루 코탱 역
  • 하인츠 벤넨트 - 루카스 스타이너 역
  • 안드레아 페레올 - 아를레트 기욤 역
  • 폴렛 더보스트 - 제르맹 파브르 역
  • 사빈느 오드팽 - 나딘 마르삭 역
  • 모리스 리쉬 - 레이몽 부르지에 역
  • 장 루이 리샤르 - 닥사트 역


5. 줄거리[편집]




6. 사운드트랙[편집]




7. 평가[편집]


[include(틀:평가/영화 평점,
로튼토마토=the_last_metro, 로튼토마토_tomato=88, 로튼토마토_popcorn=80,
IMDb=tt0080610, IMDb_user=7.3,
레터박스=the-last-metro, 레터박스_user=3.7,
알로시네=169, 알로시네_presse=3.3, 알로시네_spectateurs=4.0,
왓챠=md7ex1W, 왓챠_user=3.5,
RogeEbetcom=the-last-metro-1981, RogeEbetcom_user=3,
)]


8. 수상 및 후보[편집]



세자르상에서 12개 부문에서 후보에 올라 10개 부문을 수상하며 현재까지도 한 영화가 세자르상에서 수상한 상으로는 최다기록을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다. 공동기록을 가진 또다른 영화는 이 영화의 주연이었던 제라르 드파르디유가 출연한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(1990).


9. 기타[편집]


  • 영화의 제목 ‘마지막 지하철’은 엄격한 통행 금지령이 존재했던 나치 치하의 프랑스에서 난방용으로 뗄 석탄이 없던 프랑스인들이 추운 겨울, 추위를 피하는 한 방법으로 막차 시간 전까지 극장에서 시간을 보냈던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.

  • 트뤼포는 오랜시간 동안 프랑스 점령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만들고 싶어했는데, 자신의 삼촌과 할아버지가 모두 레지스탕스의 일원이었고, 메시지를 전달하다가 발각된 적이 있다는 일화를 어린시절 들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. 또한 어린 시절에 보았던 비시 프랑스 시기의 모습들로만 각본을 채운 것이 이 영화의 시각적 독창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며, 예를 들어 장례식을 치를 때 오직 아이들만이 객관적으로 애도하는 사람들, 검은 모자와 베일, 스타킹, 화환에 은으로 된 편지들 등 세부적인 요소들을 기억할 수 있는 것처럼 '마지막 지하철'도 어린 아이의 눈으로 보았기에 묘사할 수 있는 프랑스 점령기 극장의 모습이라고 인터뷰 한 바 있다.

  • 트뤼포가 구상했던 '엔터테인먼트 삼부작'의 두번째 작품으로, 첫번째가 영화 세계를 다룬 아메리카의 밤이었고, 연극 극단을 다룬 본작이 두번째 작품이다. 세번째 작품인 '마법의 에이전시'는 음악 홀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 될 예정이었으나 트뤼포의 사망으로 인해 끝내 완성되지 못했다.


10. 관련 문서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-02-21 22:23:25에 나무위키 마지막 지하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